이재명 대통령 국정 운영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인 52.8%로 집계됐다.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11~12일 만 18세 이상 10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4일 공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52.8%('매우 잘하고 있다' 41.2%, '대체로 잘하고 있다' 11.6%)였다.
부정 평가는 41.8%('매우 잘못하고 있다' 33.1%, '대체로 잘못하고 있다' 8.7%)로 나타났다.
2주 전과 비교해 58.3%에서 52.8%로 5.5%p 떨어졌고, 부정 평가는 37.5%에서 41.8%로 4.3%p 올랐다.
연령별로 보면 여권의 최고 지지 기반인 40대에서 2주 전에 비해 지지율이 75.0%에서 66.3%로 8.7%포인트 빠졌다. 20·30대 젊은 층에서도 2주 전에 비해 소폭 하락해 40%대에 머물렀다.
'갑질'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일부 장관 후보자의 비위에 이은 민주당 소속 이춘석 국회 법사워원장의 국회 본회의 억대 차명계좌 주식거래,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위안부 후원금 횡령' 윤미향 전 의원 등 주요 비리 정치인 광복절 특별사면,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하향 등 반 시장경제 정책 발표 내용 등 총체적인 문제로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3.7%, 국민의힘 33.8%, 개혁신당 3.6%, 조국혁신당 3.5%, 진보당 1.1%로 조사됐다. ‘그 외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10.0%, ‘잘 모름’ 0.8%였다.
국민의힘 해산에는 전체 응답자의 50.7%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44.5%였다. ‘잘 모르겠다’는 4.7%였다.
보수 색이 강한 부산·울산·경남(PK)에서조차 동의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반면 대구·경북과 충청에선 국민의힘 해산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중도층에서 국민의힘 해산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다.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4.3%다.
이번 조사는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림가중을 적용했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