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는 국회의 각 부처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과 관련, 후보자의 정책 제시안과 함께 불거지는 각종 의혹을 전합니다. 장관은 국가 정책의 틀과 방향을 정한다는 측면에서 지역 독자들도 그 내용을 충분히 알아야 합니다. 현장 행정의 시장·도지사와 시장·군수만큼 큰 영향을 줍니다. 부울경 독자들이 충분히 관심을 가질만한 하고, 또한 가져야만 하는 이슈들을 전합니다. 청문회는 7월 14일부터 국회 상임위별로 합니다. 편집자 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김 후보자의 대북관을 문제 삼으며 퇴장했다.

김 후보자는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의 대북관 질문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김 후보자가 김정일 사망 때 방북을 시도했다는 것을 따지려는 것이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국회방송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이 ‘대한민국 주적은 누구냐. 북한은 대한민국의 주적이냐’라고 묻자 김 후보자는 “주적은 대한민국을 위험에 빠뜨리는 세력”이라고 공격적으로 답했다.

이어 “주적이 아니라고 어제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말씀하셨고 거기에 동의한다”며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조 의원이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대한민국의 주적이 북한군과 북한 정권이라고 했는데 거기에는 반대하는 것이냐’고 묻자 “국방부 장관 후보자께서 북한군이라고 말씀하셨지 않나. 북한군과 북한은 다르지 않나”라고 반박했다.

앞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전날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은 주적이 아니라 위협"이라고 말했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북한 정권과 북한군이 대한민국의 주적"이라고 못 박았다.

이에 국민의힘 간사인 김형동 의원은 "가장 중요한 부분, 특히 '대한민국의 주적이 어디냐'에 대해 후보자가 의견 정리를 못 한 것 같다"며 정회하자고 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도 "후보자 답변이 왔다 갔다 한다. 고용부 장관이 저런 생각을 갖고 있으면 (고용부가) 북한 노동당 남한 지부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당 의원들은 '색깔론'이라며 회의 진행을 주장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북한이 주적이라는 내용은 정권마다 달라진 문제인데 노동부 장관에게 왜 북한이 주적이라고 강요하느냐. 생각이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왜 이게 큰 문제가 되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청문회장에서 퇴장했고 민주당은 단독으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해 자리가 비어있다.

한편 김 후보자는 지난 2011년 방북을 신청한 이유를 묻자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의 조문을 위해서 신청했다. 조문을 하는 것이 남북관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주장말했다.

이어 '2010년 천안함 사건은 누구의 책임이냐'고 묻자 후보자는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더불어 '연평도 해전에서도 김정일 때문에 장병들이 희생됐는데 이들에 대한 조문은 갔느냐'는 질의엔 "조문한 적 없다. 국무위원이 되면 장병들의 희생을 추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