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 위축이 직격탄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소매업·음식점업 비중은 45%였다. 폐업한 50.2%가 '사업 부진'을 이유로 들었다.
대로변 건물 안에 주인을 잃은 빈 의자들만 자리한 가운데, 통창에 바깥 대로가 반사돼 비치고 있다. 정기홍 기자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 8282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만 1795명이 증가해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겼다.
폐업자 수는 2019년 92만 215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해 2022년 86만 7292명까지 줄었었다.
하지만 2023년 11만 9195명 급증하며 98만 6487명을 기록했고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하며 100만 명대로 진입했다.
폐업 사유로는 '사업 부진'이 50만 6198명으로 전체의 50.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폐업 사유에서 사업 부진이 50%를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50.2%) 이후 처음이다. 사업 부진으로 인한 폐업자 숫자도 역대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었다.
이어 기타 사유가 44만 9240명, 양도·양수(4만 123명), 법인 전환(4471명), 행정처분(3998명), 해산·합병(2829명), 계절 사업(1089명)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는 전체 52개 업종 가운데 소매업 폐업자가 29만 9642명으로 전체의 29.7%였다. 이어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도매 및 상품중개업(7.1%) 순이었다.
소매업과 음식점업을 합하면 전체의 약 45%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