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폭염에 극한호우를 겪고 있는 여름이지만 어느샌가 가을이 다가서나 봅니다. 오늘(7일)은 절기상으로 가을이 온다는 입추(立秋)입니다. '가을을 세운다'는 뜻인데 우리말로 '들가을'입니다. 24절기 중 13번째로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자리합니다.

하지만 이날 경남 진주의 낮기온은 34도로 푹푹 찝니다. 일년 중 가장 더운 절기는 대서가 아닌 입추라고 합니다. 24절기가 중국에서 정해져 한반도와 조금 차이 있다고 하지요.

아무튼 한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듦을 알리는 절기이고, 늦더위는 있겠지만 폭염은 들거니 물렀거니 하면서 꺾이겠지요.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 석달을 가을철로 여깁니다.

경남 함안군 법수면 강주마을 해바라기 꽃밭에 핀 해바라기 모습. 꽃잎이 크림색으로 부드럽고 화사한 느낌을 줘 이색적이다. 해바라기는 한여름에 피지만 가을철을 상징한다. 정창현 기자

입추에 관해 알아봅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입추는 7월의 절기다. 초후(初候)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차후(次候)에 흰 이슬이 내린다. 말후(末候)에 쓰르라미(寒蟬·가을매미)가 운다'고 했습니다.

바깥에는 아직 매미 울음이 쩌렁쩌렁합니다. 아침에 매미소리가 크면 그날은 더울 것으로 짐작할 정도로 요즘 매미는 기상예보관 수준입니다.

하지만 종일 울어대다가 기력을 다한 매미가 길가에 떨어져 퍼더덕 하며 잠시 나는 모습을 보노라면 매미의 계절도 가는 듯합니다. 7년을 유충으로 땅속에서 기다렸다가 세상에 나와 7일을 울고 간다지 않습니까? 짧은 시간이 아까워 쉬지 않고, 짝을 찾아 울어대는 것 같아 애처롭기까지 합니다.

고려사 정종(正宗) 병자(丙子) 2년(1036)에는 '입하(立夏)부터 입추까지 백성들이 조정에 얼음을 진상하면 이를 대궐에서 쓰고, 조정 대신에게도 나눠주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입추에는 관리들을 하루 쉬게 했답니다. 이는 입추 절기까지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다는 것을 말합니다.

입추엔 더위와 싸우지만, 이 시기는 농삿일에 매우 중요했습니다.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자라는 때여서 맑은 날씨가 지속돼야 합니다.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는 속담도 뙤약볕에 벼가 자라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잘 큰다는 뜻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고을에서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는 기록이 전해집니다. 한자의 뜻과 음은 빌 기(祈), 갤 청(晴), 제사 제(祭)입니다. 모내기철 기후제와 반대 개념의 제례입니다. 중국에서 농사신에게 행하던 '영성제(靈星祭)'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합니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 될 것으로 여겼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할 것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또 천둥이 치면 벼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쳤답니다. 가축이 지진에 놀라 제대로 먹지 못해 비실비실대며 앓다가 죽는다는 의미 이겠지요.

이 무렵에는 농촌에는 김매기도 끝나가고 한가해집니다. '어정 칠월, 건들 팔월'이란 말이 이래서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요즘엔 과수원에 여름 내내 자란 풀을 베야 하고, 참깨도 쪄서 털어야 하는 등 한가하진 않습니다.

더불어 입추 절기부터 가을과 겨울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밭에다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야 합니다.

입추 절기는 한여름 지독스럽게 울어대는 매미와 낮게 날아다니는 잠자리떼, 해바라기의 노란 얼굴이 와닿는 때입니다. 매미는 또다시 7년 간의 긴 땅속 생활을 준비합니다. 이어 토담 고샅길의 작은 틈새에서는 귀뚜라미 소리가 들려오겠지요.

7년간을 땅속에서 유충으로 지내다가 지상으로 올라온 매미들이 벗어 놓은 허물들. 정기홍 기자

폭염이 물러난 자리엔 이글거리던 여름날의 무더위가 그리움으로 자리하겠지요. 극한 폭염과으 지긋지긋하고 처절한 싸움 뒤의 허전함이겠지요.

집안에 연로하신 어르신이 계시면 살펴야 할 때입니다. 긴 무더위를 이겨내느라 기력이 쇠해 가을 초입에 큰일을 당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영양 보충을 잘 해드려야 합니다.

곧 절기는 가을로 넘어갑니다. 한여름이 아쉽다면 선선해진 아침 저녁에 근처 공원 산책을 하면서 허전함을 달래보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