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좌관 갑질 의혹'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더불어민주당 의원)가 관련 의혹을 언론사에 제보한 전직 보좌진들에 대한 법적 조처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국민의힘은 "신고자 보호 조치와 진상 조사를 하는 근로기준법을 무시한 최악의 보복성 대응이자 2차 가해"라고 비판했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방송의 제21대 국회 '300인의 희망인터뷰'에 나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국회방송
TV조선은 지난 11일 강 후보자가 자신의 보좌진에게 변기 수리와 쓰레기 분리수거 등 사적 심부름을 시켰다는 의혹과 관련, 민주당 인사청문위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법적 조처'를 시사했다고 보도했다.
이 메시지에는 ▲갑질 의혹을 제보한 전직 보좌진이 다른 보좌진과 갈등을 빚었거나 근태에 문제가 있었고 ▲해당 보좌진에 대한 법적 조처를 시사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강 후보는 반성 대신 2차 가해를 선택했다'는 제목의 글에서 "강 후보자가 갑질 피해자에게 사과 한마디 없이 법적 조치를 운운하고 있다. 공직 후보자로서의 자격 이전에 인간으로서의 기본을 망각한 태도"라며 "민주당의 모습은 더욱 가관이다.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면서 시간만 끌고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는다. '우리 편'이면 무조건 싸고 도는 이중잣대, '피해호소인' 운운하던 못된 습관을 아직도 못버렸다"고 꼬집었다.
이어 "보좌진은 의원의 눈과 귀다. 국민의 삶을 함께 보고 듣는 동반자다. 묵묵히 자리를 지키면서 최선을 다해준 이들이 있기에 의원들은 더욱 무겁게 일할 수 있다"며 "강 후보자는 그런 동료들을 머슴 취급했다. 보좌진에게조차 존중을 보이지 않는 자가 국민을 어떻게 대할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뻔하다. 민주당이 강 후보자 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하는 이유"라고 했다.
유 의원은 "강 후보자가 '가난한 아이가 가난한 청년이 되지 않도록, 가난한 청년이 가난한 노후를 맞지 않도 역할을 하고 싶다. 더 아픈 곳, 더 낮은 곳으로 저의 몸과 마음이 흐르도록 하겠다'고 했다"며 "입으로 약자를 말하기 전에 피해자에게 사과부터 하시라. 잘못을 인정하고, 감당할 책임부터 지시라. 더 이상의 위선과 회피는 '2차 가해'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직장 내 괴롭힘 정황이 발생했을 경우, 피해자로 추정되는 사람을 즉시 가해자로부터 분리하고, 일체의 보복행위를 금지한 상태에서 진상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76조의3에 명시된 원칙이며, 약자 보호를 강조해 온 민주당이 이를 모르고 있을 리 없다"며 "복수의 전직 보좌진들이 구체적인 괴롭힘 피해를 진술했고, 보좌진이 46차례 교체된 정황까지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강 후보자의 직장 내 괴롭힘 가능성을 전제로 한 신고자 보호 조치 및 진상조사는 지극히 당연한 절차"라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그런데도 장관 후보자 본인이 보좌진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언급한 것은 최악의 보복성 대응이며, 이를 방관하는 민주당과 이재명 대통령은 더 이상 '약자 보호'를 말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