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9일 경남 서부의 집중호우로 인한 진주 남강댐 방류로 사천시 해역에 1000여t의 쓰레기가 밀려와 남해 연안 어장이 몸살을 앓고 있다.
당시 남강댐은 무려 7억t의 물을 사천만으로 흘려보냈다.
사천시가 장비를 투입해 남강댐 방류로 사천만 떠내려온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사천시
10일 사천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수자원공사는 사천만 방향의 인공 방수로인 가화천을 통해 지난달 7~21일 7억t의 대규모 방류를 했다”며 “이 과정에서 사천 앞바다는 1100t이 넘는 해양 쓰레기로 뒤덮였다”고 밝혔다.
7억t은 남강댐 총저수량 3억 920t의 2배가 넘는 양이다.
트럭이 사천만 앞바다에서 수거한 쓰레기를 부리고 있다. 사천시
사천시에 따르면 초목류‧갈대류 등 부유 쓰레기가 삼천포항, 대방항, 신수도 해역 등에 밀려와 악취와 어장 훼손, 조업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해 이때면 여름 햇전어와 문어 조업이 한창이었지만 일부 어촌계에서는 조업을 중단한 상태다.
민물이 바다로 쏟아지면서 염분 농도가 낮아져 갯벌 바지락 폐사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남해안 어민 300명은 수거한 쓰레기를 덤프트럭에 싣고 남강댐 사무소를 방문해 항의하기도 했다.
어민들은 어업 피해 보상과 함께 사천만 입구에 쓰레기 채집망 설치와 수거용 바지선을 제작해 줄 것을 요구했다.
시의회는 “어민들은 생계 터전을 잃었고 관광 산업은 휴가철과 지역 축제를 앞두고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있지만 한수원은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사천시의회가 4일 사천시청 브리핑룸에서 남강댐 방류로 인한 피해 보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천시
사천시의회는 이번 남강댐 방류로 인한 구체적인 피해 보상 계획 수립과 함께 사전 방류 예측 시스템 도입을 촉구했다.
경남 하동군의회 정영섭 의원도 지난 5잏 열린 제342회 하동군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섬진강 해양쓰레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남 하동군의회 정영섭 의원이 지난 5일 제342회 하동군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섬진강 해양쓰레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하동군의회
정 의원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때마다 전북 진안군 데미샘을 시작으로 섬진강을 따라 전북·전남·경남을 거쳐 생활쓰레기, 농업 폐비닐, 폐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이 대규모로 하동 연안에 몰려들어 연안과 해저에 퇴적되어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고 어민들의 생계와 지역 경제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섬진강 최하류에 위치한 하동군은 상류에서 내려온 쓰레기를 해마다 수거·처리 해야 하는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어, 이러한 불합리한 구조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섬진강 유역 지자체 간에 실효성 있는 협약을 통한 공동 대응 및 책임 분담 협력 체계 구축 ▲체계적 감시 인프라 구축 및 자동화 수거 장비 도입 확대 ▲국비 지원과 명확한 책임 소재 규명,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요청했다.
한편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양쓰레기는 연간 14만 5000t에 달하며, 이 가운데 65%인 8만 7000t이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