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군과 창녕군, 밀양시가 정부의 '기회발전특구' 4차 지정에 포함됐다. 이들 지자체는 지역경제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기대에 부풀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하동 대송산업단지, 창녕 대합·영남 산업단지, 밀양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 등을 지난 30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 고시했다. 총 221만㎡(67만 1000평)다.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에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세제·재정 지원과 규제특례,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제도다.

하동군 금남면에 있는 대송산단은 이차전지 미래 모빌리티 소재 지구로 지정됐다. 면적은 87만㎡로 대송산단의 63%에 해당한다.

대송산단에는 현재 ㈜엘앤에프 등 6개 기업이 8482억 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 중이다. 이들 기업은 수산화 리튬 생산, 이차전지 핵심 광물 추출 등 이차전지 핵심 소재를 공급한다.

하동 대송산업단지 전경. 하동군

군은 "과거 대송산단 조성과 관련해 발행했던 지방채를 '경제자유구역 하동지구 활성화'를 위해 조기 상환하는 등 사업 추진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투자 유치 동력 마련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 결과"라고 밝혔다.

군은 경남테크노파크와 '하동군 기회발전특구 기본계획 수립사업'을 준비해 경남 주력산업 간 연계 방안,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투자기업 육성 전략 등 준비해 왔다.

창녕군 대합면에 있는 대합일반산단과 영남일반산단 총 61만 7000㎡에는 ㈜유림테크를 비롯해 17개 기업이 입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림테크는 경북 성주에 본사를 둔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계통 자동차 부품 회사다. 현재 대합산단에 창녕 1·2공장이 있다.

창녕군 대합일반산단(위)와 영남일반산단(아래). 창녕군

기회발전특구가 되면서 투자 기업에 ▲소득세·법인세 5년간 100% 감면 ▲취득세·재산세 5년간 100% 감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최대 10% 가산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군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현재 토지 보상을 협의 중인 영남산단 착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단(72만 7743㎡)에는 '미래첨단소재·부품 산업 기지'가 조성된다.

밀양시 나노융합국가산단 전경. 밀양시

이곳에는 한국카본 등 3개 앵커기업을 포함해 13개 기업이 입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밀양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계기로 나노융합산단 분양률과 입주율을 대폭 높일 계획이다.

밀양시 나노융합팀 관계자는 "현재 분양을 받은 기업도 있고, 양해각서(MOU)를 교환한 기업도 있다"며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기업의 투자계획 확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